본문 바로가기
잡다한 이야기

이더리움 2.0: 지분증명(PoS) 전환이 가져올 변화

by 무지성투린이 2024. 12. 11.
반응형

eth_2.0
이더리움 2.0

 

이더리움의 PoS 전환은 블록체인의 기술적 한계를 넘기 위한 중대한 시도입니다. 특히 에너지 소비, 확장성 문제, 탈중앙화 논쟁을 해결하려는 이 시도는 다른 프로젝트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1) PoS와 PoW의 차이점

  • PoW(작업증명): 채굴자들이 복잡한 연산을 해결해 블록을 생성하며, 막대한 컴퓨팅 파워와 전기가 필요합니다.
  • PoS(지분증명): 코인을 보유한 지분을 기반으로 검증자가 블록을 생성하며, 채굴 장비 없이도 운영이 가능합니다.

2) PoS 전환의 이유

  • PoW 기반 네트워크는 트랜잭션 속도(TPS)가 낮고 확장성이 부족합니다.
  • 비트코인을 포함한 PoW 네트워크는 높은 에너지 소비로 인해 환경 문제로 비판받아 왔습니다.
반응형

3) PoS의 장점

  • 에너지 효율성: 기존 PoW 대비 99.95%의 에너지 절약 가능.
  • 확장성: 샤딩(Sharding) 기술과 결합해 초당 수천 건의 트랜잭션 처리 가능.
  • 보안: 네트워크 공격 비용이 더 높아져 51% 공격 방어력이 강화됩니다.

4) PoS로의 전환 과정: The Merge

  • The Merge는 이더리움 메인넷과 PoS 기반의 비콘 체인(Beacon Chain)을 통합하는 과정입니다.
  • 이는 PoW 종료를 의미하며, 네트워크의 첫 단계를 PoS로 전환시켰습니다.

이더리움 2.0은 단순히 기술 개선을 넘어, 블록체인 기술의 지속 가능성과 확장성을 강화하는 혁신의 상징으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.


 

이더리움(ETH)의 기술과 사례 / 탈중앙화의 진화

이더리움(Ethereum)은 블록체인 기술을 기반으로 한 분산형 플랫폼으로, 스마트 계약(Smart Contracts)과 분산 애플리케이션(Decentralized Applications, dApps)을 실행할 수 있도록 설계되었습니다

angelus.tistory.com

 

반응형

댓글